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주주총회를 통해 연임을 확정했다. '함영주 2기 체제'는 은행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비은행 부문의 수익성을 함께 끌어올리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이와 같은 방향성은 향후 신사업과 전략적 투자에 대한 신뢰감을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은행 중심 탈피의 필요성
하나금융그룹은 그동안 은행업 위주로 성장해 왔지만, 최근 금융 시장의 변화와 고객의 다변화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은행 중심에서 탈피하는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은행업의 안정적인 수익성만으로는 다가오는 금융 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직면한 저금리 시대와 글로벌 경제 회복세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하나금융그룹은 다양한 수익원을 확보해야 한다.
함영주 회장은 "이제는 비은행 부문에서도 강력한 성과를 내야 한다"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으며, 이는 오랜 전통의 은행업을 넘어 새로운 사업모델을 구축해야 함을 시사한다. 다양한 금융 서비스의 융합, 디지털 전환 및 고객 맞춤형 서비스는 비은행 부문이 주력해야 할 전략이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수익성 증대뿐만 아니라, 향후 하나금융그룹의 경쟁력을 한층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비은행 부문 수익성 강화 전략
함영주 2기 체제에서 하나금융그룹은 비은행 부문의 수익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도입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자산 관리, 보험 및 카드 서비스와 같은 비은행 분야를 확대하게 된다. 이러한 부문들은 고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하나금융그룹은 디지털 플랫폼을 강화하여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최근의 금융 환경에서 디지털 은행 서비스의 중요성이 급격히 대두된 만큼, 핵심 제휴 및 기술적 투자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비은행 부문에서의 수익을 증가시키고, 전체 그룹의 성장을 견인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신사업을 통한 성장 동력 확보
하나금융그룹은 새로운 신사업 발굴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기존의 금융 서비스 이외에도 다양한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사업 영역을 탐색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핀테크와의 협업을 통해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를 개발하고,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 있다.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비은행 사업의 확장을 꾀하는 동시에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해 기업의 사회적 가치도 높여 나갈 예정이다. 함영주 회장은 "하나금융그룹이 미래 지향적인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혁신과 적시의 대응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글로벌 및 국내 시장에서의 성장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의 연임 확정은 그룹 차원의 전환점을 의미하는 동시에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클린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는 중요한 신호이다. 앞으로 비은행 부문 강화와 신사업 발굴을 통한 수익성 증대는 하나금융그룹이 나아가야 할 중요한 방향이다. 향후 이와 같은 전략이 성공적으로 실행되기를 기대하며, 지속적으로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는 금융 그룹이 되기를 바란다.
```